세무/회계/노무
자산|내용년수별 정액법, 정률법 상각률 계산
어느가을빛
2010. 4. 7. 10:38
40년 - 0.073
30년 - 0.096
20년 - 0.140
18년 - 0.154
13년 - 0.206
10년- 0.259
9년 - 0.284
8년 - 0.313
7년 - 0.349
6년 - 0.394
5년 - 0.451
4년 - 0.528
3년 - 0.632
# 상각 방법
1) 정액법
2) 정률법
# 회계 반영 방법
1) 직접법
2) 간접법
# 상각률 계산 방법
- 소수 세번째 자리까지 올림하여 표시.
1) 정액법: 1 / 내용년수
= ceil(1 / year * 1000) / 1000
2) 정률법: 1 - (내용년수√(잔존가액/취득가액))
- 일반적으로 정률법의 잔존가액은 취득가의 0.5%.
= ceil((1 - pow(0.05, 1 / year)) * 1000) / 1000
# 자산 변동 요인
1) 신규취득: 자산 / 현금
2) 건설중인자산대체: 자산 / 건설중인자산
3) 자본적지출: 자산 / 현금
4) 수익적지출: 비용 / 현금
5) 매각/부분매각: 감가상각누계액 / 자산, 유형자산처분손실(이익)
6) 폐기/부분폐기: 감가상각누계액 / 자산, 유형자산처분손실(이익)
7) 기증/부분기증: 감가상각누계액 / 자산, 유형자산처분손실(이익)
7) 이동: 자산(TO부서) / 자산(FROM부서)
8) 자산재평가: 유형자산평가손실 / 감가상각누계액
8) 감가상각: 감가상각비 / 감가상각누계액
# 주의
1) 감가상각 계산(or 전표)이 이루어진 후에는 해당 기간(월 or 년)에 자산 변동이 발생 할 수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