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세무/회계/노무 (53)
어느 가을날의 전환점
* 법정동: 개인 또는 법인의 주소 및 지번 부여시 사용(ex. 재산권 증명, 우편물 배달지).* 행정동: 행정운영상의 편익에 따라 구획된 단위로서 수시로 조정 됨(ex. 동사무소 민원 서류). * 행정동 전체코드 및 법정동·행정동코드 매핑 자료 다운로드 - http://www.mogaha.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List.do?bbsId=BBSMSTR_000000000052 - 행정자치부>업무안내>지방행정실>주민등록및인감 - 주민등록 및 인감 게시판에서 "주민등록주소코드 변경내역"의 최신일자로 된 제목을 클릭. - 첨부된 압축파일 "jscodeYYYYMMDD.zip"을 다운로드합니다. - 자료 KiKcd_H.20110301(날짜) - 행정기관코드(전제 행정동..
감가상각이 완료된 자산에 대한 자본적 지출이 발생했을 경우의 회계ㆍ세무처리 감가상각이 완료된 유형자산이라도 장부상에는 비망계정으로 남아있게 마련인데, 이렇게 비망계정으로 남아있는 자산에 대한 자본적 지출이 발생했을 경우의 회계처리 및 세무처리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각완료자산에 대한 자본적 지출액의 회계처리기업회계기준서 제1호 『회계변경과 오류수정』문단 14 및 15는 유형자산의 내용연수는 그 인식과 측정을 추정에 의존하며, 추정의 근거가 되었던 상황의 변화ㆍ새로운 정보의 획득ㆍ추가적인 경험의 축적 등으로 인하여 새로운 추정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과거에 합리적이라고 판단했던 추정치라도 이를 변경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또한, 추정의 변경은 전진적으로 처리하여 그 효과를 당기 및 당기 이후의 ..
* 건설중인자산의 건설에 사용 된 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은 적수계산을 통해 건설중인자산 처리 후 완공 시 자산 대체. * 차입금 이자 계산1) 일수를 계산하여 이자를 계산하는 방법 ex. 100만원, 이자율 12%, 2개월(61일) 이자 - 100만원 * 12% / (61일 / 365) = 20,054 2) 적수를 계산하여 이자를 계산하는 방법 ex1. 100만원, 이자율 12%, 2개월(61일) 이자 - 100만원 * 61일 = 6100만원(적수) - 6100만원 / 365 / 12% = 20,054 ex2. 이자총액과 이자율을 알면, 적수를 알수 있음. - 20,054 / 12% * 365 = 60,997,583원 - 일수로 계산한 적수와 조금은 차이가 있지만 실무상 적수 계산방법은 이자와 이자율을 ..
임대인의 미납국세 열람제도http://call.nts.go.kr/JFAQ/view.jsp?q_id=6219 국세징수법 제6조 의2 【미납국세 등의 열람】- 기준년도:2013년http://taxinfo.nts.go.kr/docs/customer/comment/comment_jomun_main_iframe.jsp?viewdetail=detail&node_id=43359&law_id=001585&comment_year=2013&jomun_key=0006025 미납국세 열람제도는 주택이나 상가건물을 임차하려는 자가 전세계약 전에 임대인의 미납국세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주택이나 상가에 대한 임차인의 확정일자보다 법정기일이 앞선 국세의 우선징수로 인하여 세입자가 불측의 손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1. 기말재고자산 금액 및 매출원가의 결정(정상적감모) 매출원가 ××× / 재고자산 ××× (비정상적감모) 재고자산감모손실 ××× (기타비용)재고자산평가손실 ××× / 재고자산 ××× 또는재고자산평가손실 ××× / 재고자산평가충당금 ××× (매출원가) 2. 대손의 인식대손상각비 ××× / 매출채권 ××× 또는대손상각비 ××× / 대손충당금 ××× 3. 유형,무형자산의 상각감가상각비 ××× / 감가상각누계액 ××× 무형자산상각비 ××× / 무형자산 ×××무형자산상각비 ××× / 상각누계액 ××× 4. 선급비용, 미지급비용, 선수수익, 미수수익의 계상(비용의 이연) 선급비용 ××× / 비 용 ×××(비용의 예상) 비 용 ××× / 미지급비용 ××× (수익의 이연) 수 익 ××× / 선수수익 ×××(수익의 예..
1. 미수금(1) 미수금의 의의 미수금은 기업회계기준에서 일반적 상거래 이외에서 발생한 채권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 상거래에서 발생한 외상매출금, 받을어음과 구분된다. 여기에서 일반적 상거래란 당해 회사의 사업목적을 위한 경상적 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거래를 말한다. 그러므로 모든 기업에 대하여 특정한 영업행위가 일반적 상거래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며 기업이 어떤 형태의 영업행위를 하는가에 따라서 일반적 상거래의 내용이 정해진다고 할 수 있다. (2) 미수금의 회계처리 미수금 계정은 정상적인 영업활동을 위한 재고자산 외의 자산을 매각한 경우에 이에 대한 미수액을 처리하는 계정이며 발생시점에서 수익인식의 조건이 충족되므로 상대계정과목의 거래에 따르는 손익이 인식된다. ※ 회계처리 사례“회사가 보유..
* 건설중인 자산(=건설가계정)건설중인자산은 유형고정자산을 건설에 의해 취득하게 될 때, 건설을 개시한 날부터 건설이 준공되기까지 지출된 모든 재료비ㆍ노무비 및 경비를 처리하는 미결산계정을 말한다. 건설중인자산에는 건설을 위해 지출한 도급금액 또는 취득한 기계 등을 포함한다. 건설중인 자산은 유형자산의 일조이기는 하지만 보통 토지와 마찬가지로 감가상각을 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건설 도중에 있는 것일지라도 영리목적의 건설(반성공사)이 아니므로 기말평가를 할 필요도 없다. 건설가계정이라고도 한다. * 분개- 건설 중: (차) 건설중인자산 xxx (대) 보통예금(현금) xxx- 완료 시: (차) 건물 xxx (대) 건설중인자산 xxx * 유형자산의 취득원가 = 매입원가 + 부대비용- 매입원가 : 그 자산을 ..
1. 선급금 선급금이란 회사의 영업활동에 필요한 물품등을 구입하기 위해 미리 지급하는 선금의 개념으로서 기업회계기준에서는 선급금을 상품.원재료 등의 매입을 위하여 선급한 금액으로 한다.여기서 '상품.원재료 등의 매입'은 기업회계기준에서 말하는 '일반적 상거래'와 유사한 개념이라 볼 수 있다. (1) 일반적 상거래란? 모든 기업에 획일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당해 기업의 본래의 사업목적을 위한 경상적 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거래라는 것을 의미한다.예를 들어 건설회사가 건축자재매입을 위해 선급한 금액은 본래의 사업목적의 상품인 건축물의 원재료를 매입하기 위하여 선급한 금액으로서 선급금계정의 차변에 기재하여야 하나 일반제조회사가 공장건설을 위해 선급한 자재대금은 선급금으로 볼 수 없고 유형자산 중 건설중인 ..
사업소세 신고 1. 종업원할 사업소세 : 종업원이 50인을 초과하는경우 종업원 총급여액의 100분의 0.5를 익월 10일까지 납부하는 지방세이다. 2. 재산할 사업소세 : 매년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당해 7월 1일을 기준으로 사업 또는 사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인적, 물적 설비를 갖추고 사업 또는 사무를 수행하는 장소로 연면적 330제곱미터를 초과하는 사업소에서 제곱미터당 250원의 세금을 납부하는 지방세 비과세면적 : 건물의 연면적에서 기숙사,합숙사,사택,구내식당,의료실,도서실,박물관,과학관,미술관,대피시설, 체육관, 도서관,연수관,오락실,휴게실,병기고,탈의실,구내이발소,목욕실등 1평당 X 3.3058 = 제곱미터 환산면적 예) 269.74평 269.74 X 3.3058 = 891.70제곱미터 ..
정부에서는 ’09년부터 저소득 근로자에게 근로소득금액에 따라 최대 120만원까지 근로장려금을 지급하는「근로장려세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근로장려세제는 근로소득의 크기에 따라 지급액이 결정되므로 근로자의 정확한 소득파악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에 따라 일용근로자의 정확한 소득파악을 위하여, 사업자는 분기별로「일용근로소득 지급명세서」를 제출하여야 하며, 미제출시 미제출금액의 2%에 상당하는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또한, 홈택스를 통하여 사업자가 일용근로소득지급명세서를 직접 제출한 경우 분기별 소득자 인원수에 300원을 곱하여 계산한 금액(연 1만원 미만인 때에는 1만원, 연 200만원한도이며 세무법인 또는 회계법인은 연 300만원 한도임)을 세액공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일용근로소득 지급명세서 전자제출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