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세무/회계/노무 (53)
어느 가을날의 전환점
국민연금 보험료 산정 기준이 되는 기준소득월액 상ㆍ하한금액이 소득 변동 2.3%를 반영하여 2010년 7월부터 하한은 22만원에서 23만원, 상한은 360만원에서 368만원으로 상향 조정됩니다. ※ 기준소득월액이란? 연금보험료를 산정하고 급여를 계산하기 위하여 가입자의 소득월액을 기초로 상ㆍ하한 범위 내에서 정한 금액 이러한 기준소득월액은 1995년 이후 22만원~360만원으로 고정되어 있던 상ㆍ하한액을 소득 변동률에 연동하여 조정하도록 지난해 국민연금법시행령이 개정되었기 때문입니다.(2009.12.30) 이에 따라 월 360만원 이상 소득자 172만여 명은 최대 월 7,200원 보험료를 더 내게 되고, 나중에 받는 연금도 증가하게 됩니다. (단, 360만원 미만자는 보험료의 증가는 없고, 전체 평균소득..
현재는 폐지된 규정이나, 과거 기업회계기준의 국민연금전환금 규정에 따라 발생한 계정이다. 과거의 규정에서는 국민연금 납부액이 1 이라고 할 경우 다음과 같이 납부하였다. ① 1/3 : 사원 부담액 ② 1/3 : 회사 지원금액 ③ 1/3 : 회사가 대신 납부해주는 금액 ☞ 사원이 퇴직할 때에 퇴직금에서 이 금액 제외하고 퇴직금 지급 위에서 ③ 이 국민연금전환금에 해당하는 것이며, 회사가 사원을 대신하여 미리 납부해 준 금액이므로, 회사입장에서 보면 이 돈은 투자성격의 자산이 된다. 그러므로 국민연금전환금 계정은 [투자자산]에 위치한다. → 합계잔액시산표에서 투자자산 항목에 위치함 그러나, 실제 퇴직금 지급시 국민연금전환금 금액만큼 공제하고 퇴직금은 지급하며, 퇴직금 지급은 퇴직급여충당금으로 지급하게 되므로..
1.연간 근로일 수의 산정 연간 근로일 수는 365일에서 회사의 취업규칙(또는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단체협약서)에 규정되어있는 유급휴일 및 휴가를 제외 한 일수가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회사의 취업규칙에 유급휴일 및 휴가(주휴,근로자의 날,국경일,공휴일 및 하계휴가)일 수가 36일이라면,연간 근로일 수= 365일 - 36일 = 320일,즉 연간 근로일 수는 320일이 되는 것입니다. 2.월간 통상근로시간 수 주 5일(주 40시간)제인 경우로서 토요일을 무급휴무일로 정한 경우의 월간 통상근로시간 수는 209시간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노사간의 합의로 토요일 4시간을 유급으로 정한 경우의 월간 통상근로시간 수는 226시간이 되는 것입니다. 3.정원의 산정(상시근로자 수의 산정) 상시 5인 이상의 근..
약어 영문 한글 F/S Financial Statement 재무제표 I/S Income Statement 손익계산서 B/S Balance Sheet 대차대조표 A/C Account 계정 Journalizing 분개 G/L General Ledger 총계정원장 Dr. Debtor 차변 Cr. Creditor 대변 T/B Trial Balance 시산표(합계잔액시산표) W/S Working Sheet 정산표(잔액시산표,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Closing 결산 Closing Statement 결산보고서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현금흐름표, 시산표, 공사원가 명세서, 하자보수비 명세서…) Cash Account 현금 계정 Cash Book 현금 출납장 Current Deposits ..
다음과 같이 계산구조에 의해 퇴직소득세액을 계산합니다. ㅇ 퇴직급여액 - 비과세퇴직소득 = 퇴직소득금액 ㅇ 퇴직소득금액 - 퇴직소득공제 = 퇴직소득과세표준 * 퇴직소득공제 : 비례공제 + 근속연수에 따른 공제 가. 비례공제 : 퇴직급여, 명예퇴직수당에서 45%를 일률적으로 공제 나. 근속연수에 따른 공제 - 근속연수 5년 이하 : 30만원 × 근속연수 - 근속연수 5년 초과 10년 이하 : 150만원 + 50만원 × (근속연수 - 5년) - 근속연수 10년 초과 20년 이하 : 400만원 + 80만원 × (근속연수 - 10년) - 근속연수 20년 초과 : 1,200만원 + 120만원 × (근속연수 - 20년) ㅇ 퇴직소득과세표준 ÷ 근속연수 = 연평균과세표준 ㅇ 연평균과세표준 × 세율 = 산출세액 ㅇ 산..
중소기업은 법인세법과 조세특례제한법에서 각각 세제지원을 규정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법인세법 ① 접대비한도액의 기초금액이 중소기업의 경우는 1,800만원입니다.(비중소기업의 경우 1,200만원) ② 중소기업은 각사업연도에 결손금이 발생된 경우 그 결손금에 대하여 직전 사업연도의 법인세액을 한도로 환급신청할 수 있습니다.(결손금소급공제제도) ③ 중소기업의 외상매출금이 부도발생일로부터 6개월 경과시 대손처리 가능합니다. ④ 분납기한이 중소기업의 경우는 2개월(비중소기업 1개월)입니다. (2) 조세특례제한법 ① 최저한세율이 8%(비중소기업 11, 14%)입니다. ② 사업용자산 등 투자액의 3%에 대해 중소기업투자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③ 중소기업특별세액감면(5~30%), 창업중소기업 ..
거래가 발생하여 분개장에 기입한 후 각 계정에 정확하게 전기 되었는지를 검사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표. ① 합계시산표: 총계정원장 각 계정의 합계액으로 작성한 시산표 ② 잔액시산표: 총계정원장 각 계정의 잔액으로 작성한 시산표 ③ 합계잔액 시산표: 총계정원장의 각 계정의 합계와 잔액으로 작성한 시산표 차변잔액, 차변합계, 계정과목명, 대변합계, 대변잔액 1. 잔액 및 합계는 전기이월 금액을 포함하여 표시 한다. 2. 전체 차변잔액, 차변합계는 각각 대변잔액, 대변합계와 같다. 3. 당기순이익이 반영되면, 합계잔액시산표의 차/대변 합계가 불일치하게 됨으로 반영하지 않습니다.(?) * 참조 http://www.iquest.co.kr/aihtm/..
필요경비 1) 고용관계 없이 인적용역을 일시적으로 제공하고 받는 대가 거주자가 받는 금액의 100분의 80에 상당하는 금액을 필요경비로 인정하는 소득 (실제 소요된 필요경비가 100분의 80에 상당하는 금액을 초과시 그 초과하는 금액도 필요경비에 산입) 원천징수세율 1) 복권 및 복권기금법 제2조에 따른 복권당첨금 등에 해당하는 소득금액이 3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하는 분 : 100분의 30 2) 그 밖의 기타소득 : 100분의 20 원천징수 1) 원천징수의무자가 기타소득을 지급하는 때에는 그 기타소득금액에 원천징수세율을 적용하여 계산한 소득세를 원천징수 2) 이 경우기타소득금액은 당해 지급금액에서 이에 대응하는 필요경비로 당해 원천징수의무자가 확인할 수 있는 금액 또는 소득세법 시행령 제87조의 ..
40년 - 0.073 30년 - 0.096 20년 - 0.140 18년 - 0.154 13년 - 0.206 10년- 0.259 9년 - 0.284 8년 - 0.313 7년 - 0.349 6년 - 0.394 5년 - 0.451 4년 - 0.528 3년 - 0.632 # 상각 방법1) 정액법2) 정률법 # 회계 반영 방법1) 직접법2) 간접법 # 상각률 계산 방법- 소수 세번째 자리까지 올림하여 표시.1) 정액법: 1 / 내용년수 = ceil(1 / year * 1000) / 1000 2) 정률법: 1 - (내용년수√(잔존가액/취득가액)) - 일반적으로 정률법의 잔존가액은 취득가의 0.5%. = ceil((1 - pow(0.05, 1 / year)) * 1000) / 1000 # 자산 변동 요인1) 신규취득..
[매식비 / 식대] 특근매식비: 시간외 근무자의 회식비 등 식대로 정규시간 근무 전이나 근무 후 사용된 비용. * 관리 항목 사번(성명), 부서, 근무일시 From ~ To, 프로젝트, 매식비(금액), 음식점(식당), 초과근무내용 등 * 2007년 기준 정부 예산 지침 1. 특근매식비 지급대상자는 다음과 같다. 1) 정규근무시간 개시 전에 출근하여 근무하거나 근무 종료후 근무하는 자, 다만, 시간외근무수당을 지급받고 있는 자 중에서 교대근무자, 야간근무수당 지급대상자, 휴일근무수당 지급대상자는 제외 2) 을지연습 등 비상훈련 참가자중 급식을 요하는 자 지급단가는 5,000원/식.인 이내로 한다 2. 특근매식비의 집행은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카드를 사용하여야 한다 3. 참고로, 중앙행정기관..